CCNA
-
라우팅 프로토콜 요약2009.04.01
IPv6 주소
1. IPv6 개요
IPv6는 IPv4의 주소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IPv4 주소체계는 NAT를 적극 활용하기 전까지 주소 고갈 문제로 이미 한계점에 다다른 상태였다. 또한 부족한 주소를 더 많은 네트워크에 할당하기 위해 서브넷으로 나누어 제공하였으며 수많은 서브넷으로 인해 라우터의 부담도 증가하였다.
인터넷 주소 고갈과 네트워크 단편화(fragmentation) 문제를 해결하고 인터넷에 확장성과 보안을 강화하기 위한 설계 지침에 의해 탄생한 것이 IPv6이다.
IPv6는 Xerox 팔로 알토 연구소에서 개발하고, 1994년 IETF(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가 채택하였다. 처음에는 IP Next Generation (IPng)라고 불렀다.
미국 정부는 IPv6의 의무화를 강행하였으며 우리나라 정부도 2010년까지 IPv6의 주소 체계 전환을 공표한 상태이다.
2. IPv6 특성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식별 기능 및 라우팅 지원 기능
- 계층적 주소 체계
- IPv4의 네트워크 ID와 호스트 ID 체계와는 상이하게 접두사의 길이로 네트워크 ID의 길이 표시
- 공인 IP와 사설 IP 주소 제공
3. IPV6 주소 유형
- 유니캐스트 (unicast) : 인터페이스 당 할당된 주소.
- 멀티캐스트 (multicast) : 그룹을 대표하는 주소. 한정된 멀티캐스트를 사용한 IPv4와 달리 IPv6는 필수적으로 멀티캐스트 지원.
- 애니캐스트 (anycast) : 특정 그룹의 특정 멤버를 지정.
※ IPv6에서는 브로드캐스트 주소 대신 멀티캐스트 주소를 이용.
4. IPv6의 주소 공간
- 128bit 길이
5. IPv6 주소 표기법
- 16진수로 표기. 16진수 4개를 쿼텟 단위로 묶어서 콜론(:)으로 구분하여 사용.
- 0 억제/압축 : 16진수 주소에 0이 연속될 경우 쿼텟 단위로 단일 0으로 표현하거나 생략하여 표기.
(예) 0815:3E5D:0000:0000:0000:0000:6789:A4CD → 0815:3E5D:0:0:0:0:6789:A4CD (0 억제) → 0815:3E5D::6789:A4CD (0 압축)
- 혼합 표기법 : 내장된 IPv4 주소 표기.
(예) 0815:3E5D::FC57:192.168.0.1
- IPv6 주소 접두사 : 네트워크 ID의 길이를 표시
(예) 0815:3E5D::6789:A4CD/48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
라우팅 프로토콜 요약
1. 라우티드 프로토콜 (routed protocol)
라우팅 테이블을 사용하여 패킷을 다른 네트워크의 호스트로 전달하는 프로토콜.
- IP (Internet Protocol) ... 인터넷
- IPX (Internet Packet Exchange) ... 노벨네트웨어
- AppleTalk ... 매킨토시 네트워크
2. 라우팅 프로토콜 (routing protocol)
가. 내부 라우팅 프로토콜 (IGP; Interior Gateway Protocol)
자율 시스템(AS; Autonomous System)내에서만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프로토콜.
(1)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distance-vector routing protocol)
임의의 링크에 대한 방향(벡터)과 거리(홉 카운트)를 결정.
- RIP (Rounting Infomation Protocol) ... 홉 카운트를 라우팅 메트릭으로 사용.
- IGRP (Interior Gateway Routing Protocol) ... 대규모 이종 네트워크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시스코에서 개발.
(2)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link-state routing protocol)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 네트워크 변화에 대하여 빠르게 반응하고, 변화에 대해서만 트리거 업데이트(trigger update)를 보내며, 주기적인 업데이트(link-state refresh)는 매 30분 등과 같이 비교적 긴 시간 주기로 보낸다.
- OSPF (Open Shortest Path First) ... 네트워크 내의 최적 경로 계산을 위해 다익스트라 알고리즘(Dijkstra algorithm)을 적용.
- IS-IS (Intermediate System-to-Intermediate System) ... OSI 프로토콜 스택을 위한 동적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3) 하이브리드 라우팅 프로토콜
- EIGRP ... IGRP의 기능을 향상 시킨 시스코 독점 프로토콜. 거리 벡터 프로토콜이면서 링크 상태 프로토콜의 일부 기능 이용.
나. 외부 라우팅 프로토콜 (EGP; Exterior Gateway Protocol)
프로토콜 구성시 AS 등록소로부터 할당 받은 유일한 자율 시스템 번호를 사용하여 자율 시스템(AS)간 라우팅 정보 교환.
- BGP (Border Gateway Protocol) ... 주요 인터넷 회선 서비스 업체와 ISP간 사용.
이 글은 스프링노트에서 작성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