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바 프로그래밍/Struts1 & Struts2

(1) 스트럿츠1 정리 노트

2012. 9. 18. 19:33

소개

스트럿츠는 자바 서블릿, 자바 빈, 리소스 번들, XML 뿐만 아니라 BeanUtil이나 Chain of responsibility(책임의 연쇄)와 같은 다양한 아파치 커먼즈 팩키지와 같은 표준 기술을 기반으로한 유연한 컨트롤 계층이다. 프레임워크는 표준적인 배포 방법과 검증된 디자인 패턴에 기반하여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확장된 개발환경을 만들어 낼 수 있다.

프레임워크는 자신만의 웹 컨트롤러 구성 요소를 제공하고 모델과 뷰를 위한 다른 기술을 통합한다. 모델을 위한 프레임워크는 JDBC와 EJB와 같은 표준 데이터 접근 기술 뿐만 아니라 대부분의 서드파티 패키지들인 Hibernate, iBATIS, 객체관계형 브리지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뷰를 위한 프레임워크는 JSTL과 JSF 뿐만 아니라 벨로시티 템플리트, XSLT와 기타 다른 프리젠테이션 시스템을 포함한 Java Server Page와 잘 작동한다.

프레임워크의 컨트롤러는 어플리케이션의 모델과 웹 뷰 사이에서 다리 역할을 한다. 요청이 도착하면 컨트롤러는 액션 클래스를 호출한다. 액션 클래스는 어플리케이션의 상태를 검사하거나 갱신하기 위해 모델과 상의한다. 프레임워크는 모델과 뷰 사이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ActionForm 클래스를 제공한다.

대부분 모델은 자바 빈의 집합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개발자는 ActionForm과 모델 객체(혹은 퍼사드)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 BeanUtils 커먼즈 툴을 사용한다. 바람직한 것은 모델은 "heavy lifting"을 할 것이고, Action은 "교통 경찰" 역할이나 어댑터 역할을 한다.

Model : 시스템 상태와 비즈니스 로직 자바 빈즈

MVC 기반 시스템에서 모델은 두 가지의 주요 부분 – 시스템 내부 상태와 그 상태를 변경할 수 있는 작업 – 으로 나눌 수 있다.

마치 명사와 동사에 비유할 수 있을 것이다.

많은 경우 어플리케이션은 하나 이상의 자바 빈즈의 집합으로 시스템 내부 상태를 나타낸다. 빈 속성은 시스템의 세부 상태 정보를 나타낸다. 어플리케이션의 복잡한 정도에 따라 이 빈들은 자신의 상태나 자신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을 포함하거나, 다른 구성 요소에서 시스템의 상태를 검색하는 방법을 알 수 있다. 이 구성 요소는 데이터베이스, 검색엔진, 엔티티 엔터프라이즈 자바 빈즈, LDAP 서버나 완전히 다른 것이 될 수 있다.

대규모 응용프로그램은 종종 빈이나 시스템 정보를 유지하는 빈을 호출 할 수 있는 메서드와 같은 비즈니스 명령 집합으로 표현된다. 이 빈은 또한 사용자의 신용카드를 승인하고 입고나 출고하는 창고로 주문을 보내는 checkOut() 메서드일 수 있다. 다른 시스템은 세션 엔터프라이즈 자바 빈즈로 별도로 사용할 수 있는 명령을 나타낸다.

반면에 소규모 응용프로그램에서는 프레임워크의 제어 계층의 일부인 Action 클래스들에 사용가능한 명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것은 로직이 매우 간단하거나 비즈니스 로직의 재사용이 필요없는 경우 유용할 수 있다.

프레임워크 아키텍쳐는 다양하게 모델에 접근할 수 있도록 충분히 유연하지만 무엇을 할 것인지에 관련된 Action 클래스와 어떻게 할 것인지와 관련있는 비즈니스 로직을 분리할 것을 강력 추천한다.

View : JSP 페이지들과 표현 구성 요소(Presentation Components)들

스트럿츠 기반의 응용프로그램의 뷰는 종종 Java Server Page(JSP) 기술을 사용하여 구성된다. JSP 페이지는 “템플릿 텍스트”로 불리는 정적 HTML(혹은 XML)로 구성되고, 페이지 요청시 해석되는 특별한 액션 태그 기반의 동적 컨텐츠를 추가할 수 있는 능력을 더한다. JSP 환경은 Java Server Page 명세에 설명된 <jsp:useBean>과 같은 표준 액션 태그를 포함한다. 내장된 액션에 추가로 여러분 자신의 태그를 정의하여 커스텀 태그 라이브러리안에 구성한다.

프레임워크는 ActionForm 빈즈를 통해 완벽하게 국제화되고 우와하게 상호작용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어 내는 커스텀 태그 라이브러리의 집합을 포함한다. ActionForm은 응용프로그램이 요청한 입력을 읽고 유효성 검사를 한다.

Controller : ActionServlet과 ActionMapping

스트럿츠는 응용프로그램의 컨트롤러 부분을 제공한다. 컨트롤러는 클라이언트(일반적으로 웹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서 수행될 비즈니스 로직을 결정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다음 단계를 적절한 뷰 구성요소에게 만들어 내는 책임을 위임한다. 프레임워크에서 컨트롤러의 주요 구성요소는 클래스 ActionServlet의 서블릿이다. 이 서블릿은 ActionMapping의 집합을 정의하여 구성한다. ActionMapping은 입력된 요청의 URI에 대해 일치하는 Action 클래스 이름을 지정하는 경로를 정의한다. 모든 Action은 org.apache.struts.action.Action의 하위 클래스이다. Action은 비즈니스 로직 클래스의 호출을 캡슐화하고 결과를 해석하여 응답을 생성할 적절한 뷰 구성 요소의 디스패치를 제어한다. 프레임워크가 뷰를 디스패치하는 동안 실제 렌더링되는 뷰는 스코프를 벗어난다.

프레임워크는 또한 컨트롤러를 작동하는 데 필요한 표준들 이외에 추가 속성들을 갖는 ActionMapping 클래스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렇게 하면 응용프로그램에 대한 추가적인 정보를 저장하면서 여전히 프레임워크의 나머지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워크는 논리적인 “이름”을 이용하여 예를 들면 메인 메뉴 페이지에서 액션 메서드에 대응하는 JSP 페이지를 위치 지정없이 전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은 컨트롤 로직(수단)과 뷰 로직(표현)를 분리하는데 도움을 준다.


스트럿츠2에서 리소스 번들을 이용하여 문자열을 출력하기 위해서는 ActionSupport를 상속받아 Action 클래스를 작성하여야 하며 방법은 다음과 같이 다양합니다.

  1. Action 클래스에서 출력
    ...
    public class MyAction extends ActionSupport {
        ...
        public void valid() {
            ...
            addFieldError("username", getText("username.required"));
        }
        ...
    }
    
  2. Property 액션 태그의 사용
    <s:property value="getText('username.required')"/>
    
  3. Text 액션 태그의 사용
    <s:text name="username.required"/>
  4. 액션 태그내의 Key 속성 사용
    <s:textfield key="username.required"/>
    
  5. i18n 액션 태그의 사용
    
        <s:text name="username.required"/>
    

리소스 번들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적용됩니다.

  1. ActionClass.propertie
  2. Interface.properties
  3. BaseClass.properties
  4. ModelDriven's model
  5. package.properti
  6. i18n message key로 검색
  7. Global resource properties


Struts2는 Struts1과 달리 필터 기반으로 동작하기 때문에 Struts1과는 배포기술자(DD) 설정이 다릅니다. 특히 Struts 2.1.3 이후 버전부터는 기본 필터인 디스패처도 달라졌습니다.

...
...
    
        struts2
        org.apache.struts2.dispatcher.ng.filter.StrutsPrepareAndExecuteFilter
    

    
        struts2
        /*
    

    


만일 Struts 2.1.3 버전이나 이전 버전으로 개발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이 디스패처를 지정합니다.(2.1.3이후 버전도 이전 버전과의 호환을 위해 지원하고 있습니다.)

...

    Struts2
    org.apache.struts2.dispatcher.FilterDispatcher
...

스트러츠를 설정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설정은 struts-config.xml 설정 파일의 <action-mappings> 부분이다. <action-mappings>은 다수의 <action> 설정을 가질 수 있으며 스트러츠의 컨트롤러의 핵심 정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우선 스트러츠에서의 데이터 흐름을 이해할 필요가 있는데 HTML 폼에 입력된 데이터는 ActionForm을 상속받은 폼 빈에 저장되고 폼 빈은 Action을 상속하여 구현한 액션으로 전달된다. 액션은 데이터를 모델로 전달하며 이때 편의를 위해 폼 빈의 데이터를 전송 객체인 자바 빈에 담아 데이터 액세스 객체로 전달하여 데이터베이스와 같은 영구 저장소에 저장한다.

[struts-config.xml]

<action> 설정의 주요 속성으로 우선 path를 들 수 있다. path 속성은 서블릿 경로를 지정하는 부분으로 배포 기술자인 web.xml의 설정과 관련이 있다.

[web.xml]

위와 같이 서블릿 매핑을 확장자 일치 방법을 사용할 경우 입력할 주소가 '/servlet/foo.do'라고 하면 '/servlet/foo'만 입력하면 된다.

다음으로 입력의 경우 HTML 폼을 지정해야 하는데 input 속성에 지정한다. 그리고 HTML 폼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들일 폼 빈의 지정은 name 속성에 지정하며 이 name 값은 <form-beans>의 <form>의 name 속성과 맵핑을 하여 찾는다.

validate 속성은 'true'와 'false' 값을 가질 수 있으며 뒤에 설명할 액션폼(ActionForm)에서 선언한 validate() 메서드의 실행 여부를 설정한다.

마지막으로 폼 빈을 전달받아 모델로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 액션을 지정하는 속성은 type이다.

추가로 이러한 요청의 스코프는 scope 속성에 기술하는데 'request'와 'session' 두 가지가 있다. 'request'는  1회성 요청에 사용된다는 의미이고 'session'은 여러 요청에 걸쳐 빈을 사용할 경우 사용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정보 등록시 기본 정보 입력후 다음 페이지로 이동하여 추가 정보를 입력하는 작업에서 기본 정보와 추가 정보 모두를 하나의 빈에 저장하도록 설계하였을 경우 빈이 두 페이지에 걸쳐 사용되기 위해 'session' 스코프에 빈을 저장하게 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것을 예제로 만들어 보겠다. 예제는 다음과 같이 사용자 이름과 암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목록을 출력하는 간단한 프로그램이다.

[입력화면]

사용자 이름 사용자 이름을 입력해 주세요.
암호 암호를 입력해 주세요.

먼저 입력화면을 구성할 HTML 폼을 JSP로 작성한다.

[입력화면 소스 frmRegistMember.jsp]

다음은 HTML 폼의 데이터를 저장할 폼 빈을 만든다. 폼 빈의 제작은 ActionForm 클래스를 상속받아 제작하며 validate()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여 폼의 데이터를 검증하는 코드를 작성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struts-config.xml 설정 파일의 <action> 설정부의 input 속성과 name 속성의 정보를 통해 HTML 폼의 데이터는 자동으로 폼 빈으로 읽혀지게 된다. 그리고 validate 속성에 의해 validate() 메서드의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 validate 속성 값이 'false'일 경우 검증 과정 없이 바로 읽혀져서 type 속서에 명시된 액션으로 넘어간다.

[폼 빈 소스 addUserActionForm.java]

다음으로 폼 빈의 데이터를 모델로 전달할 액션을 작성한다. 액션은 Action 클래스를 상속받아 execute()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여 작성한다. 여기서 폼 빈을 모델로 직접 전달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컨트롤러와 모델간에 결합도가 높아져 유연성이 떨어지므로 전송 객체로 폼 빈의 프로퍼티를 복사하여 전송 객체를 데이터 액세스 객체로 전달한다. 폼 빈의 프로퍼티를 전송 객체로 복제할 경우 프로퍼티 수만큼 복제 코드를 작성하여야 하는데 이럴 경우 프로그래머에게도 지루한 작업이지만, 액션이 특정 폼 빈에 종속되어 다른 폼 빈과 재활용이 불가능해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BeanUtils 클래스가 제공되며, copyProperties() 정적 메서드를 이용하면 작성도 간단해지고 다른 폼 빈과의 재활용도 가능해진다.

[프로퍼티를 직접 복제]

[BeanUtils.copyProperties() 이용]

BeanUtils 클래스를 이용한 액션은 다음과 같이 작성한다.

[전송 객체로 프로퍼티를 복제하여 전달하는 소스 AddUserAction.java]

스트러츠는 프로그래머에게 자연스럽게 MVC 모델2를 적용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준다. 물론 프로그래머가 MVC 개념을 명확하게 이해하고 MVC 패턴에 맞춰서 코딩을 한다는 전제하해서 말이다.

스트러츠는 MVC 패턴 중 컨트롤러와 뷰를 커버한다. 컨트롤러와 관련되어 익혀두어야 하는 부분은 우선 web.xml에서 컨트롤러인 ActionServlet을 설정하는 것인데 디렉터리 맵핑과 확장자 맵핑의 두가지 방법이 있다. 그리고 struts-config.xml에서 폼빈(form-beans)과 액션맵핑(action-mappings), 메시지 리소스(message-resources), 컨트롤러(controller), 플러그인(plug-in) 설정을 익혀두어야 한다.

일단 스트러츠를 익히기위한 시작으로는 폼빈과 액션맵핑, 메시지 리소스 설정 익히면 족하고 이어서 폼의 입력 데이터 검증을 위한 validator 프레임을 적용하는 방법을 순서대로 익혀나가는 것이 좋을 것 같다.

스트러츠의 컨트롤러는 뷰(view)에 해당하는 폼(form)과 모델(model)과 통신하는 액션(action)을 컨트롤하는 정보를 담고 있는 struts-config.xml 설정파일과 다수의 액션(action)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컨트롤러와 함께 또하나의 구조인 폼은 액션폼(ActionForm)을 상속받거나 직접 사용하여 만들어지는데 ActionForm과 DynaActionForm, LazyActionForm의 3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ActionForm은 프로그래머가 폼빈을 구성하고 validate() 메서드와 reset() 메서드를 직접 구현하여야 하며 DynaActionForm과 LazyActionForm의 경우 폼빈을 자동으로 생성해 주어 프로그래머가 코딩으로 구현하는 것이 아니라 xml파일에 태그를 선언하여 선언적으로 구현하도록 해준다. 결론적으로 액션폼의 주요 기능이 폼의 입력 데이터의 검증과 초기화를 구현하는 것인데 이를 프로그램 작성이 필요없이 컬럼과 조건을 선언하여 프로그래밍이 필요없이 자동으로 작성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스트러츠의 안전성을 그대로 프로그래머의 솔류션이 이어받을 수 있도록 해준다. 프로그램 작성을 최소화하여 프로그래머에 의한 버그를 최소화하고 작업의 흐름(work flow)에 집중하여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을 제작하도록 해준다. 스트러츠와 같은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잇점인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