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교안

VTP는 '가상랜'을 싣고...

- VTP (VLAN Trunk Protocol) 설정하기 -

그림. 정샘 아이콘
강의는 재미와 유익을 주어야 한다는 생각을 가지고 "재미있으면서 유익한" 글을 써보려는 시도로 작성해 본 글입니다. 이 글을 읽고 있는 여러분께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었다면 질문이나 오타나 오류를 발견했을 때 서슴없이 댓글을 달아 알려주세요.

VTP는 2계층 트렁크 프레임을 사용하여 하나의 도메인에서 VLAN의 추가, 삭제, 이름 변경을 스위치간 자동으로 전달하여 VLAN 설정의 일치성을 유지합니다. VTP 메시지는 시스코 전용 ISL이나 IEEE 802.1Q 프로토콜 프레임으로 캡슐화되고 다른 장비로 트렁크 링크를 지나 다닙니다.

VTP는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집니다.

  • 네트워크를 통한 VLAN 설정의 일치
  • VLAN의 정확한 추적과 모니터링
  • 네트워크에 추가되는 VLAN의 동적인 보고
  • 새 VLAN을 추가할 때 자동 설정

VTP는 트렁크 포트를 통해 다음을 광고합니다.

  • 관리 도메인(management domain)
  • 설정 교정 번호(configuration revision number)
  • 알고 잇는 VLAN과 특정 매개변수

VTP 모드

  • VTP Server mode
  • VTP Client mode
  • VTP transparent mode

VTP Server (VTP 서버 모드)

VLAN의 만들기, 수정하기, 지우기가 가능합니다. VTP 서버는 같은 VTP 도메인에 있는 다른 스위치로 VLAN 설정을 광고하고 트렁크 포트를 통해 받은 VTP 광고를 바탕으로 다른 스위치와 함께 VLAN 설정을 맞춥니다.

VTP Client (VTP 클라이언트 모드)

VLAN 정보에 대한 추가, 삭제, 변경을 할 수 없습니다. 오로지 VTP 서버로부터 받은 광고에 의해 VLAN 정보를 유지할 뿐입니다. 심지어는 그렇게 설정된 VLAN 정보조차 저장하지 않습니다. 이 모드는 메모리가 부족하여 VTP 서버의 기능을 할 수 없는 스위치에 적합한 모드입니다. VTP 클라이언트는 수신한 VLAN 정보를 다시 모든 트렁크 포트를 통해 전달합니다.

VTP Transparent (VTP 투명 모드)

VTP에 참여하지 않으며 수신된 VLAN 정보를 전달하기만 하고 자신만의 독자적인 VLAN 데이터베이스를 유지합니다.

VTP의 작동

VTP는 스위치간에 VTP 광고를 트렁크 포트를 이용합니다. 이때 이 광고 프레임은 모든 이웃한 스위치가 수신할 수 있도록 멀티캐스트로 전송합니다. 각 광고는 설정 교정 번호가 포함되어 있어서 0부터 시작하여 변화가 있을 때마다 1씩 증가합니다. 관리 도메인의 설정 교정번호는 2,147,483,648까지 증가후 0으로 되돌아 갑니다.

VTP 광고는 다음 2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클라이언트가 동작시 필요한 정보
  • 서버의 응답

VTP 메시지는 다음 3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 요약 광고(summary advertisement) - 서버의 요약 광고. VTP 설정 교정 번호 광고.
  • 광고 요청(advertisement request) - 클라이언트가 VLAN 정보를 요청.
  • 부분 광고(subset advertisement) - 서버의 부분 광고 응답. VLAN에 대한 세부적인 정보 포함.

디폴트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카탈리스트 스위치들은 5분 간격으로 요약 광고를 전송하여 자신들이 가지고 있는 설정 교정 번호를 이웃 스위치들에게 알립니다. 이웃한 서버나 클라이언트들은 자신의 설정 교정 번호와 비교하여 더 높은 교정 번호를 가진 요약 광고를 확인하면 VLAN 정보에 대한 부분 광고를 요청합니다.

VTP 설정

VTP 모드 설정

Switch(config)# vtp mode { server | client | transparent }

VTP 도메인 설정

Switch(config)# vtp domain DOMAIN-NAME
Switch(config)# vtp password PASSWORD

VTP 설정 확인

Switch# show vtp status

VTP 가지치기(Pruning)

스위치는 기본적으로 트렁크 링크로 모든 브로드캐스트와 멀티캐스트, 알려지지 않은 패킷 등 모든 트래픽을 전송합니다. VTP 프루닝은 불필요한 트래픽의 전송을 줄임으로써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한 기능입니다.

디폴트로 프루닝은 비활성되어 있으며 프루닝을 활성 상태로 만들면 스위치에 특정 VLAN에 가용한 장비가 없을 경우 해당 VLAN을 트렁크 포트로 전송하지 않게 됩니다. 서버에서 다음 명령으로 프루닝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Switch(config)# vtp pruning

특정 VLAN을 프루닝이 불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다음 명령을 입력합니다.

Switch(config)# interface fastethernet 0/24
Switch(config-if)# switchport trunk pruning vlan remove VLAN-ID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하기

지금부터 Windows Server 2003을 설치하도록 하겠습니다. 여기서는 Windows Server 2003 R2 Enterprise Edision을 이용하여 설치를 진행하겠습니다.

윈도우 서버 2003 설치 시작

컴퓨터를 켠 후 <F2>키(메인보드마다 다름. 보통 <DEL>키를 누름)를 눌러서 BIOS Setup 화면으로 들어갑니다. 부팅순서를 첫 번째 CD-ROM 드라이브로 설정하고, 두 번째를 하드디스크로 설정합니다.

그림1. CMOS Setup

그림1. CMOS Setup

그림2. CMOS Setup

그림2. CMOS Setup

그림3. 부팅 순서 설정

그림3. 부팅 순서 설정

그림4. 저장하고 부팅하기

그림4. 저장하고 부팅하기

Windows Server 2003 R2 Enterprise Edition은 CD 2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번 CD를 넣고 부팅합니다. 하드디스크에 기존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있는 경우 자동으로 하드디스크로 부팅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CD로 부팅하려면 아무키나 누르세요..." 이런 내용의 영문 메시지가 잠시 표시되면 아무키나 눌러서 CD로 부팅을 합니다. 윈도우 서버 2003 설치 화면이 나타납니다.

그림5. 윈도우 서버 2003 설치화면

그림5. 윈도우 서버 2003 설치화면

윈도우 서버 2003의 설치와 복구 메뉴 표시

설치 프로그램이 시작되고 설치를 시작할지 복구를 진행할지를 물어옵니다. <Enter>키를 눌러서 설치를 진행합니다.

그림6. 설치 정보 표시

그림6. 설치 정보 표시

윈도우 서버 2003 라이센스 표시

Windows Server 2003과 Windows Server 2003 R2의 라이센스는 다음과 같이 약간의 차이가 있습니다. 라이센스를 읽은 뒤 <F8>키를 눌러서 동의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그림7. Windows Server 2003 라이센스

그림7. Windows Server 2003 라이센스

그림8. Windows Server 2003 R2 라이센스

그림8. Windows Server 2003 R2 라이센스

사용 키보드 선택

현재 설치된 키보드의 종류를 선택한다. 데스크 탑 PC의 경우 대부분 103/106 키를 사용하므로 103/106키를 선택하면 됩니다. 노트북에서 설치할 경우 노트북은 자체 규격의 키보드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기본값인 종류1을 선택하여 설치를 진행합니다.

그림9. 키보드 선택

그림9. 키보드 선택

윈도우 서버 2003 설치할 파티션 선택 및 포맷

처음 선택할 경우 파티션이 나눠지지 않았기 때문에 분할되지 않는 공간을 선택하여 설치를 진행하면 됩니다. 만일 이미 운영체제가 설치되어 다시 설치하는 경우에는 해당 파티션을 삭제한 뒤 설치를 진행합니다. 파티션에 대한 내용은 다음 장에서 별도로 다룹니다.

그림10. 설치할 파티션 선택

그림10. 설치할 파티션 선택

Windows Server 2003의 보안 설정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선택한 파티션을 NTFS로 포맷합니다. 오래 사용한 하드디스크의 경우 일반 포맷을 하여야 하며, 새로 구입한 하드디스크의 경우 빠른 포맷을 이용하여 포맷을 진행해도 무방합니다.

 

그림11. NTFS 포맷

그림11. NTFS 포맷

그림12. 포맷

그림12. 포맷

CD로부터 설치 프로그램이 하드디스크로 복사된 후 재부팅 됩니다. 그리고 윈도우 모드에서 설치가 진행됩니다.

 

그림13. 설치 파일 복사

그림13. 설치 파일 복사

그림14. 재부팅

그림14. 재부팅

그림15. 재부팅

그림15. 재부팅

그림16. 윈도우 모드에서 설치 진행

그림16. 윈도우 모드에서 설치 진행

국가 및 언어 선택

Windows Server 2003은 다국어를 지원하는 시스템이므로 사용 국가 및 언어를 선택하여야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이 선택되어 있으므로 설치를 계속 진행합니다.

그림17. 국가 및 언어 옵션

그림17. 국가 및 언어 옵션

사용자 정보 입력

사용자 이름과 소속기관명을 입력합니다.

그림18. 사용자 정보 입력

그림18. 사용자 정보 입력

서버 라이센스 키 입력

윈도우 설치 CD에 동봉된 서버 라이센스 키를 입력합니다.

 

그림19. Windows Server 2003 제품 키 입력

그림19. Windows Server 2003 제품 키 입력

클라이언트 라이센스 모드 선택

Window Server 2003은 서버 라이센스와 클라이언트 라이센스가 필요합니다. 서버 라이센스는 서버 운영체제 Copy당 1개씩 필요하며, 클라이언트 라이센스는 서버에 접속할 클라이언트의 대수만큼 필요합니다. 클라이언트 라이센스 모드의 자세한 설명은 다음 장에서 설명합니다. 구매한 라이센스 개수를 선택하고 다음 단계로 진행합니다.

그림20. 클라이언트 라이센트 모드 선택

그림20. 클라이언트 라이센트 모드 선택

컴퓨터 이름과 관리자 계정 암호 설정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될 컴퓨터의 이름과 Administrator 계정의 암호를 지정합니다.

그림21. 컴퓨터 이름과 Administrator 암호 설정

그림21. 컴퓨터 이름과 Administrator 암호 설정

날짜 및 시간 설정

날짜와 시간을 설정합니다.

그림22. 날짜와 시간 설정

그림22. 날짜와 시간 설정

네트워킹 설정

TCP/IP 네트워크 환경을 설정합니다. 일반 설정을 선택하여 진행한 후에 윈도우 설치가 완료된 후에 각자 환경에 맞추어 설정합니다. 네트워크 환경 설정도 다음 장에서 별도로 다룹니다.

 

그림23. 네트워킹 설정

그림23. 네트워킹 설정

작업 그룹 또는 도메인 설정

컴퓨터 작업 그룹과 도메인도 별도로 다룹니다. 기본값을 선택하고 진행합니다.

그림24. 작업 그룹 또는 도메인 설정

그림24. 작업 그룹 또는 도메인 설정

설치 및 최초 로그인

나머지 설치 과정이 진행되고 재부팅후 최초 로그인 화면이 뜹니다. 설치시 입력한 Administrator 암호를 입력하여 로그인 합니다.

그림25. 재부팅

그림25. 재부팅

그림26. 최초 로그인

그림26. 최초 로그인

그림27. 최초 로그인

그림27. 최초 로그인

Window Server 2003의 설치는 여기에서 완료됩니다. Windows Server 2003 R2의 경우 최초 로그인후 추가 작업이 진행됩니다.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추가 작업(Windows Server 2003에서는 진행 안됨)

Window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가 실행됩니다.

그림28.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

그림28.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

그림29.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

그림29.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

그림30.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

그림30.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

그림31.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

그림31. Windows Server 2003 R2 설치 마법사

설치 완료

Windows Server 2003 R2의 설치 종료 후 화면입니다. 서비스 팩1이 기본적으로 적용되어 있기 때문에 자동 업데이트 설정과 보안 업데이트 진행에 관련한 창이 표시됩니다. 설치후 최초 1번만 표시됩니다. 자동 업데이트 구성을 선택하여 자동 업데이트를 켜 주세요.

 

그림32. 보안 업데이트

그림32. 보안 업데이트

그림33. 자동 업데이트

그림33. 자동 업데이트

Windows Server 2003의 경우 별도의 설치 마법사 진행 없이 사용자 서버 관리도구가 표시됩니다.

그림34. 사용자 서버 관리

그림34. 사용자 서버 관리

축하합니다. Windows Server 2003의 설치가 끝났습니다. ^o^

+ Recent posts